티스토리 뷰
상가집 절하는 방법
영정 앞에 절할 때는 남자는 오른손, 여자는 왼손을 위로 경사와 달리 애사 때는 자리가 자리인 만큼 최대한 격식을 차려야 합니다.
상가집에 가면 빈소에 들어가 먼저 상주와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성냥이나 라이터로 향불을 붙이고 손바닥으로 바람을 일으켜 불을 끈 후 향로에 꽂습니다. 간혹 입으로 불을 끄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실례입니다.
향로에 향을 꽂은 후에는 영정을 향해 두 번 절을 해야 하는데 남자는 오른손이, 여자는 왼손이 올라가도록 해야 합니다.
절을 할 때 여자는 원래 음양의 원리에 따라 4배를 해야 하지만 최근에는 성별에 관계없이 *재배로 바뀌고 있습니다.
상가집 절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선절(남녀)한걸음 물러서 45도이상 깊숙이 숙이고 7초 정도 머무릅니다. 앉은절 남:한걸음 물러서 재배한다. 여:4배가 원칙이지만 재배도 무방합니다.
상가의 문상예절을 따르는 게 예의입니다. 상가의 종교가 자신의 종교와 달라 난처할 때가 있습니다. 종교마다 문상예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때는 자신의 종교보다는 상가의 종교에 맞는 예법을 따르는 게 좋습니다.
예컨대 영정 앞에 향 대신 흰 국화가 놓여 있다면 꽃을 제단 위에 놓고 묵념이나 기도를 올리면 됩니다.
사람들이 가장 혼란스러운 것이 바로 꽃의 방향입니다. 문상은 떠나간 고인에게 예를 다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받는 사람이 물건을 받기 편하게 드린다는 생각으로, 꽃의 줄기가 고인을 향하게 해야 합니다.
여러 명이 문상을 할 때, 분향은 대표 한 사람만 문상을 여럿이 갔을 때 모든 사람이 다 분향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 사람만 해야 되는 것인지 몰라 우왕좌왕할 때가 있습니다.
두세 명 정도라면 한 사람 한 사람 분향해도 되지만, 그 이상의 숫자일 때는 한 사람만 분향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또 여럿이 한꺼번에 고인이나 상주에게 절을 할 때 고개를 언제 들어야 할지 눈치를 보는 수가 있습니다. 먼저 고개를 들었다가 다른 사람이 아직 들지 않은 것을 보고 다시 고개를 숙이는 것이 그런 경우입니다.
이것은 꼭 통일해야 할 필요는 없고 자연스럽게 하면 됩니다. 다만 상주와 맞절을 할 때는 상주보다 먼저 고개를 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영정 앞에서 올리는 절은, 한 번은 천신에게 잘 받아 달라는 의미이고 두 번째는 지신에게 잘 떠나게 해 달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상주와 하는 맞절은 상주의 조상들에게 상주를 잘 보살펴 달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